아토피성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만성적으로 재발하는 피부 습진 질환입니다.
유아기에는 얼굴과 팔다리의 접힌 부분에 습진으로 시작되지만, 소아기가 되면서 특징적으로 팔이 굽혀지는 부분과 무릎 뒤의 굽혀지는 부위에 습진이 나타납니다. 성장하면서 자연히 호전되는 경향을 보이지만 알레르기 비염, 천식 같은 호흡기 아토피를 동반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원인과 증상, 그리고 대처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원인
- 유전적 요인 : 약 70~80%는 가족력이 동반되어 부모 중 한 명이 아토피성 피부염을 앓고 있을 경우 자녀에게 발병할 확률이 높습니다. 부모 중 한쪽이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으면 자녀의 50%에게, 부모 두 명에게 모두 아토피성 피부염이 있으면 자녀의 75%에게 아토피성 피부염이 나타납니다.
- 환경적 요인 : 산업화와 도시화로 인한 환경 변화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발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식품첨가물 사용의 증가,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의 증가도 영향을 미칩니다. 또 날씨 변화, 특히 춥고 건조한 환경도 갑작스러운 발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환경오염 물질과 공기 질 역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면역학적 요인 : 환자 대부분은 면역글로불린 E(lgE) 수치가 높으며, 이는 면역 반응의 과민성을 나타냅니다. 음식물 또는 공기 중 항원에 대한 과민 반응으로 인해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증상
아토피성 피부염의 가장 큰 특징은 심한 가려움증 및 외부의 자극이나 알레르기 유발 물질에 대한 매우 민감한 반응입니다. 가려움증은 보통 저녁에 심해지고, 이때 피부를 긁어서 피부의 습진성 변화가 발생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습진이 심해지면 다시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지는 악순환을 반복하게 됩니다.
아토피성 피부염이 나타나는 부위는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 생후 2세까지의 유아기에는 주로 머리, 얼굴, 몸통, 팔다리가 펴지는 부위에 붉고, 습하고, 기름진 딱지를 형성합니다. 소아기에는 특징적으로 얼굴보다는 팔다리의 접히는 부분, 목의 접히는 부위에 생기며 피부가 두꺼워지고 건조해지는 습진이 나타납니다.
아토피피부염은 나이가 들면서 호전되거나 없어지는 경우가 많지만 호전된 후에도 특정 물질이나 자극에 의해 쉽게 가렵거나 염증 반응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소아기 및 성인기로 갈수록 손, 발 습진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인기까지 아토피피부염이 남는 경우에는 몸의 피부 증상은 호전되는 반면 얼굴에 홍반이 심한 습진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있고, 접히는 부위는 오랫동안 긁어 피부가 두껍게 보이는 태선화 피부가 더욱 뚜렷해집니다. 성인기라도 만성 습진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만성 습진 위에 진물과 딱지가 앉는 급성 병변이 얼마 동안의 시간 간격을 두고 되풀이하여 일어납니다.
대처방법
아토피성 피부염에 걸리면 피부가 건조해집니다. 그러므로 피부 보습이 매우 중요합니다.
지나친 목욕을 삼가고, 과다한 비누 사용도 자제합니다. 그리고 보습제를 꾸준히 발라주는 것이 치료에 도움이 됩니다.
목욕 후 물기를 닦을 때 피부에 묻은 물기를 찍어내듯이 닦아낸 뒤에 즉시 보습제나 병원에서 처방한 연고를 발라주어야 합니다. 뜨거운 물보다는 미지근하거나 실온보다 높지 않은 물을 사용하여야 좋습니다.
2차적 감염이 있을 때는 항생제를 쓰며 가려움이 심할 때는 항히스타민제를 씁니다. 상태가 심하면 국소용 스테로이드 연고를 쓸 수 있는데, 이는 장기간 쓰면 피부가 얇아지고 혈관이 확장되면서 장기적으로는 증상이 더 악화되는 부작용이 있기 때문에 증상이 호전되면 바로 사용을 멈추어야 합니다. 소아과 의사들은 아토피성 피부염이 아주 심하지만 않다면 보습제를 하루에도 몇 차례씩 충분히 바르라고 권합니다.
'건강 > 질병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요로 결석 증상, 치료법, 식이요법 (0) | 2024.08.15 |
---|---|
우울증 증상, 진단 기준 및 치료 방법 (0) | 2024.08.14 |
치매 증상, 치료 방법, 경과 및 예방 (0) | 2024.08.13 |
골다골증 원인, 치료 방법, 예방 방법 (0) | 2024.08.13 |
갑상선기능항진증의 원인, 증상, 관리 방법 (0) | 2024.08.12 |